설립목적

사업개요

사업명국가 경쟁력 연구의 기반 구축 사업
사업기간1단계 : 2016.03.01 ~ 2019.02.28
2단계 : 2019.03.01 ~ 2023.02.28
3단계 : 2023.03.01 ~ 현재

사업목적

사업 내용 1단계 2단계
1년차 2년차 3년차 1년차 2년차 3년차
국가경쟁력/생명력에 대한 포괄적 연구 – 한 국가의 경쟁력 및 생명력에 대한 내용·요건·측정지표 등 연구
우리나라 국가경쟁력/생명력 현황의 분석 및 그 제고 방안 연구
선도적 신흥국인 한국경제 문제 연구
선진국 문턱에서 방향을 잃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제·사회문제를 연구하고 그 해법을 모색
국가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인적·물적 자본의 활용문제 연구
경제한국학 학문 기반구축과 신흥국에 대한 전수 방안 연구 및 실행
복잡계경제학의 연구와 교육을 위한 국내 기반구축 – 복잡계경제학의 이론, 방법론 정책대안 연구, 교육을 위한 기반 구축

사업내용

1단계 1-3년차: 국가경쟁력 및 국가생명력과 한국경제사회

국가경쟁력 및 국가생명력 연구에 대한 역사적 고찰 및 실증적 접근을 통해 그 내용·요건·측정지표 등을 연구한 국가의 발전과 위상을 결정하는 국가경쟁력/생명력(vitality of a nation)에 대한 포괄적 연구

주요 선진국 및 강소국들의 국가경쟁력/생명력 현황과 배경 분석

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/생명력 현황을 분석하고 그 제고방안 연구

1단계 3년차 - 2단계 1년차: 선도적 신흥국인 한국경제 문제의 연구

선도적 신흥국의 속성과 현실적 문제를 연구하고 우리나라 문제에 적용하여 그 해법을 모색

선도적 신흥국 경제 연구를 위한 기반을 구축하여 저개발국에 대한 효과적인 경제발전 전수방안을 도출

선진국에 가깝다고 평가되는 우리경제는 ‘선도적 신흥국(Advanced Emerging Economy)’으로 분류되고 있음

2단계 1-2년차: 중진국함정과 한국경제

산업화·민주화의 모범사례로 꼽히던 우리나라는 최근 여러 가지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, 내적으로는 경제성장의 모멘텀을 잃고 그 방향을 찾지 못하고 있음, 이 문제에 대해 종합적으로 연구함으로써 그 해법을 모색하고자 함

우리나라의 경제발전과 성장과정의 어제와 오늘에 대해 연구하고자 함

2단계 3년차: 국가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인적·물적 자본의 활용문제 연구

한국경제는 국내·외적 도전에 직면하여 위기를 맞고 있으며 장기적 발전 방향을 상실한지 오래된 바, 그 현황과 원인을 진단

국가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인적·물적 자원의 활용문제를 연구하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

1, 2단계 전 기간: 경제한국학의 학문적 기반구축과 신흥국에 대한 전수 방안 연구 및 실행

최근 동남아, 중앙아시아 등 경제신흥국 중심으로 한국 경제발전 경험에 대한 교육 수요가 급증하고 있음

한국의 발전 경험은 전통 경제학으로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 많으며 ‘경제한국학(Korean Economic Studies)’ 연구의 기반구축이 절실함

경제한국학을 신흥국의 대학 및 연구기관에 전수할 방안을 모색하고 여건이 성숙된 국가부터 이를 실행하고자 함

1, 2단계 전 기간: 경제한국학의 학문적 기반구축과 신흥국에 대한 전수 방안 연구 및 실행

경제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이라 할 수 있는 복잡계경제학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연구 및 교육의 국내 기반구축

경제학 연구의 새로운 흐름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기 위한 국내 연구기반 구축

새로운 경제이론 및 방법론을 통하여 우리나라 경제·시회문제를 연구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